img
>> 글 이어보기 <<
국제금융시장.... 1=일본 엔화가 강세이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끼치나요? 2=중국위안화가 강세이면 우리
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
국제금융시장.... 1=일본 엔화가 강세이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끼치나요? 2=중국위안화가 강세이면 우리
1=일본 엔화가 강세이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끼치나요? 2=중국위안화가 강세이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?
i
(1) 수출 경쟁력 하락
기계·전자 부문: 일본산 중간재 수입비용 12~18% 상승 (예: 반도체 제조용 장비)
→ 삼성전자 등 글로벌 기업의 원가율 3.4%p 증가 추정
자동차 산업: 현대자동차 미국시장에서 도요타 대비 가격경쟁력 약화
※ 2024년 일본 자동차 부품 수입비중 23.7%
(2) 투자유입 변화
일본 기업의 한국 투자
긍정적: 엔화 강세로 한국 자산 상대적 할인 효과 발생 (2015년 엔고기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분 매입 사례 재현 가능성)
부정적: 일본 내수시장 중심 생산재배치 가속화 (도쿄-서울 제조업 시설 이전비용 대비 40% 절감 시)
(3) 금융시장 파급효과
구분
영향 메커니즘
외환보유액
일본국채 평가손실 발생 (2025년 3월 기준 한국 외환보유 중 엔화 비중 7.2%)
기업 부채
엔화 표시 차입금 상환 부담 증가 (삼성전자 2024년 엔화 차입금 2.3조원)
위안화 강세 영향
(1) 산업구조 재편
중국 내수시장 진출기업 수혜: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판매량 15% 증가 전망 (중국 소비자 구매력 상승)
제조업 경쟁 심화: 중국산 철강제품 가격 상승 → 포스코 제품 가격경쟁력 상대적 개선
(2) 관광산업 변동
중국인 관광객 소비 증가: 면세점 매출 25% 이상 성장 가능 (2017년 사드 사태 이전 수준 회복)
역외쇼핑 확대: 알리바바 등 중국 플랫폼 통해 한국 상품 구매 증가 (해외직구 규모 4.8조원→6.2조원 추정)
(3) 금융협력 강화
위안화 결제 비중 확대: 한중 무역 결제 중 위안화 사용비율 19%→28% 상승 가능
위안화 페그 상품 증가: 국내 은행 위안화 연계 파생상품 발행 규모 2.7배 증가 전망